음악 편집 프로그램
믹싱콘솔
Native Instruments Traktor DJ Studio
Atomix Virtual DJ
PCDJ - Visiosonic
Visual Disco Mix
사운드 편집
Acid Pro
제작 보다는 샘플들을 불러들여서 자르고 붙여서 원하는 형태의 루프를 만들수는 있습니다.
멀티트랙의 인터페이스로 간단한 리믹스와 사운드 편집에 주로 이용합니다. 주목할만한 기능으로는 BPM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기능이 있고 서로 다른 비트나 코드를 가?샘플이나 곡을 한곡으로 묶어줄수도 있습니다. 자르고, 붙이고 등이 가능하고 각종 플러그인의 사용으로 vsti 등을 지원하게 됨에 따라 더욱 폭넓은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http://cafe.daum.net/aciduser
http://www.cinemusic.co.kr/bbs/zboard.php?id=vegaspro#
Steinberg WaveLab
VST 기반의 이펙트 플러그 인을 사용하여 실시간 이펙트를 적용하고 랜더링하여 이펙트가 포함된 파일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만약 많은 파일을 동시에 프로세싱해야 하는 경우라면, 웨이브랩만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배치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VD 제작은 생각처럼 쉬운 작업은 아닙니다. 웨이브랩은 누구라도 손쉽게 전문가 수준의 DVD 오디오를 제작할 수 있으며, 비디오가 포함된 DVD 타이틀까지 손쉽게 제작이 가능합니다. 또한 서라운드 사운드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서라운드 사운드와 정확한 레벨의 작업이 가능합니다.
http://blog.naver.com/acidsound/140011033610
http://www.pcaudiolabs.com/video/wavelab4.html
Sound Forge
단일 오디오 소스의 편집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오디오의 모든 사운드를 레코딩,편집,저장할 수 있으며 CD의 데이터를 불러들이고 또 오디오 CD를 제작할 수 있는 아주 강력한 툴입니다. 작은 사운드 파일을 편집할때 이만한 툴이 없죠. 오디오 초보자에서부터 전문가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최고의 오디오 편집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음악 편집 프로그램이나 샘플러에 사용할 샘플소스를 편집해서 다시 넘기기도 하고, 녹음하면서 바로 바로 메세지 태그를 찍어둘 수 있는 기능이라던가 리모콘 모드로 변신하는 기능도 돋보입니다. bpm 맞추는 게 수동인 점이 단점입니다.
http://cafe.daum.net/soundforge
http://blog.naver.com/faram.do?Redirect=Log&logNo=40002799890
http://cafe.naver.com/gamedegree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89
http://trancemuzine.com/bbs/zboard.php?id=gear_and_software
Vegas Pro
사운드 효과나 편집할때는 물론 사운드 포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메들리 같은 작업을 할 경우엔 멀티 트랙 작업이 가능해야 제대로 된 작업이 가능합니다. 이때 쓰는데 초보자도 작업 하기쉬운 인터페이스 mp3및 wma파일의 변환으로 다양한 음질 출력및 용량조절이 가능합니다.
http://www.chin9.net/zzboard/zboard.php?id=vegas
http://www.cinemusic.co.kr/bbs/zboard.php?id=vegaspro#
http://www.redsun.co.kr/academy/education_detail.php?ctgr=00033 (유료)
http://blog.naver.com/usmmm/60003265989
http://cafe49.daum.net/_c21_/bbs_list?grpid=GESE&fldid=LTZw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php?bid=1486211 (도서 : 베가스 5)
http://www.midizone.com
http://blog.naver.com/post/postView.jsp?blogId=usmmm&logNo=60003265989&categoryNo=7&viewdate=&cpage2=7&cpage=1 (베가스 오디오 특강 1)
http://blog.naver.com/post/postView.jsp?blogId=usmmm&logNo=60003309186&categoryNo=7&viewdate=&cpage2=7&cpage=1 (베가스 오디오 특강2 )
http://blog.naver.com/post/postView.jsp?blogId=usmmm&logNo=60003340752&categoryNo=7&viewdate=&cpage2=7&cpage=1 (베가스 오디오 특강3 )
CoolEdit
CoolEdit 2000은 Syntrillium사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음향 편집 프로그램이다. 지금은 adobe 사에 흡수되어 Adobe Audition이라는 이름으로 나오고 공유프로그램으로 한시적으로 무료사용이 가능합니다. 멀티 트랙으로 오디오 편집이 가능하고 소리에 여러 가지 효과를 입힐 수 있다. 또한 음향을 분석하고 사운드 믹싱, 저장도 가능하다. Sound Forge와 함께 사용하면 아주 재미있는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맥켄토시용으로 시작되었기에 맥켄토시 컴퓨터는 다른 프로그램보다 강점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http://blog.naver.com/simon51.do?Redirect=Log&logNo=80002305800
http://www.soundwiz.co.kr/forumSE/list.asp?Forumid=BODKOL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dir_id=10504&docid=897675&ts=1102031827 내려받기
http://www.agibus.net/tip/cooledit/cooled-01.htm
http://210.218.32.140/cool/right2.htm
http://www.boyoung.hs.kr/%7Ecms1252/cooledit/intro.htm
http://www.kentmixland.com/
http://www.multizine.co.kr/zb41pl4/bbs/zboard.php?id=pubcooleditlecture
http://cafe.daum.net/cooledit
http://cafe.daum.net/singsangsung
http://cafe.daum.net/kswmusic
http://cafe.daum.net/friendsjune
http://cafe.daum.net/youngent
GoldWave
Goldwave는 CoolEdit와 같은 시기에 출발하여 꾸준히 버전업되고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사운드 편집 소프트웨어이다. Goldwave 크기는 쉐어웨어로서 Cool Edit의 1/10 정도다. 하지만 작은 크기에 강력한 기능을 가진 골드웨이브는 최근 점차 덩치만 커져가는 소프트웨어들과 비교하여 작으면서도 그 성능은 상당히 뛰어나다. 음악 제작 관련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한다면 데스크탑 정도의 사용 환경에서도 높은 수준의 음악 제작이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4GB 까지 큰 파일 편집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사운드포지와 함께 쓸때 문제점이 보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http://blog.naver.com/dr_ondal.do?Redirect=Log&logNo=5311912
http://milyang.com/edu_tech/make_1/Goldwave/goldwave_0a.htm
http://home.megapass.co.kr/%7Etopjin9/gold/gold.htm
http://www.multizine.co.kr/zb41pl4/bbs/zboard.php?id=pubgold
http://blog.empas.com/yunsk1/6390281
http://blog.empas.com/kikick/6289082
http://sendis.com/lecture/goldwave/goldwave.htm
시퀀서+편집+리코딩
Steinberg Nuendo
원래 유닉스용의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졌는데 스타인버그가 인수해서 누엔도를 만들었죠. 경쟁 프로그램은 매직스의 세콰이아(샘플리튜드)와 맥 플랫폼의 로직이 있습니다. 인터페이스가 화려하고 사용법이 직관적이어서 국내에서는 사용법이 까다로운 세콰이아 보다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죠. 누엔도 2.0 버전은 대형 믹싱콘솔과의 연동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습니다.
누엔도는 거의 엄청난 양의 멀티트랙 생성이 가능합니다 큐베이스의 상위버전인 만큼 더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고 가격도 비싸고 처음부터 음악제작과 영상 포스트 프로덕션까지를 커버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그래서 7.1채널 까지의 서라운드 믹싱을 지원합니다. 고질라가 누엔도로 믹싱된 영화중 가장 유명하죠. 치명적인 약점은 버스루팅입니다. 버스 루팅은 트랙을 묶거나 이펙트 채널을 할당할때 별도의 다른트랙을 지정해서 묶어주는 방법인데, 기본적으로 누엔도는 출력버스를 늘리는 방법외에는 그룹채널링이나 이펙트 센드채널 에서 사운드의 파노라마 폭이 감소하고 소리가 극적으로 탁해진다는 악평을 듣고 있습니다.
nuendo 동영상 강좌 : http://www.midizone.com/class/nuendo20.htm
nuendo-매뉴얼1 : http://blog.naver.com/post/postView.jsp?blogId=woooop&logNo=100004558451&categoryNo=0&viewdate=&cpage=1&cpage2=1&listtype=0
nuendo-매뉴얼2 : http://blog.naver.com/woooop/100004558481
nuendo-매뉴얼3 : http://blog.naver.com/woooop/100004558511
http://user.chollian.net/~headbang1/Lecture/Lec3.htm
http://pds14.cafe.daum.net/download.php?grpid=23Nj&fldid=2nq2&dataid=539&fileid=1®dt=20050508090202&disk=9&grpcode=trancewaves&dncnt=N&.JPG
http://service.steinberg.de/fwd.nsf/show/nuendo2_operation_manual_en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3&dir_id=30612&docid=696583
http://www.steinberg.de/Steinberg/default5b09.html?Langue_ID=7
Steinberg Cubase SX
큐베이스의 성공은 이미 전세계에 알려져 있으며 스테인버그사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의 레코딩 스튜디오라는 개념으로 음악시장에 혁명을 가져 왔습니다. 큐베이스는 이미 헐리우드의 유명한 작곡자들에 의해서 그 툴로 사용되어 대단한 성과를 이루어 냈습니다 .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Gladiator" 나 "Lion King" 같은 것들입니다
'Cakewalk에서 미디작업을 한 후에 달랑 하나 있던 GM 모듈인 사켄이나 GIGA Studio로 Play시키고 이걸 사운드 포지를 써서 채널별로 녹음 한 후 이펙트 씌워서 사운드 메이킹 하고 베가스나 쿨에디트로 믹스다운하여 웨이브로 익스포트 한다.' 이것이 이전까지 음악 작업을 하는 방식 이었다. 특별히 마스터링 이라고 할 만한 과정도 없었다. 그러나 CuBase SX를 쓰면 이 모든 과정이 Cubase SX안에서 끝난다. VST system은 실제 스튜디오를 컴퓨터안에 그대로 가상 구현 해 놓은 것이다. 이 안에서 각 과정들이 유기적으로 연결 되고 프로젝트나 작업환경도 고스란히 보관 했다가 언제든 불러 내어 다시 쓸 수있고 잘못된 작업은 얼마든지 되돌릴 수 있다. 상상만 하던 여러가지 황당해 보이던 작업들도 얼마든지 겁 없이 실행해 볼 수 있다.
http://blog.naver.com/post/postView.jsp?blogId=ronyee&logNo=80012336148&categoryNo=27&viewdate=&cpage2=1&cpage=1
http://blog.naver.com/ronyee.do?Redirect=Log&logNo=80012336096
http://www.dj-tips-and-tricks.com/cubase_tutorial.html
http://blog.naver.com/chobkwon.do?Redirect=Log&logNo=100008303397
http://blog.naver.com/mongsang77.do?Redirect=Log&logNo=3221846
http://blog.naver.com/simon51.do?Redirect=Log&logNo=80002305800
http://www.computermusic.co.uk/tutorial/vstindex.asp
http://tv.mnshome.com/show3.html?num=3
Fruity Loops Studio
http://cafe.naver.com/fruityloops.cafe
http://www.cyzic.co.kr/zboard/zboard.php?id=lecture_fruity
Orion Platinum
에러가 좀 잘 나고 기본 사운드가 FL에 비해서 현저히 낮다는 겁니다. 반면, 시퀀싱이나 패턴 작업 등 음악 들어보기와 코딩하기가 너무나 쉽습니다. 특히나 이펙터 먹이는게 아주 쉽고 소리를 금방 들어보면서 작업할 수 있기에 능률적입니다. 또하나 단점은, 이벤트창에서 해당 값을 먹일때 선택하는 방법(셀릭트방식)이 너무 불편해서 이벤트 종류가 많은 경우엔 한참을 찾아서 먹여야하는 불편함입니다. 어쨋든, 오리온은 초보가 사용하기에도 쉽우고 쉽게 그럴듯한 소리가 나오기 때문에 손에 익으면 쉽게 음악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핀테엄 4 3.4이상은 되야 좀 더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지않나 싶네요.
http://www.phreque.com/oplat_tutorials/tutorial01/flash_version/opt01_settingup.htm
Reason
PropellerHead사는 Reason을 만들기 앞서 Rebirth라는 프로그램을 먼저 개발했는데 이걸 발전시킨 것이 Reason입니다. Reason은 Rebirth와 달리 자체제작만이 가능한 Emulator 역할만이 아닌 신디사이저 등의 연결을 통한 좀더 전문적인 제작이 가능하게끔 Sequencer기능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믹서, 샘플러, 신디사이저, 이펙터등 모든 작업이 한군데에서 가능한 프로그램이며, 외부입력장치의 연결 없이도 상당한 수준의 음악이 제작가능하며, 신디사이저, 샘플러 등의 외부기기를 사용한다면 좀 전문적인 음악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제공된 샘플은 방대하고 양질인데 포함된 Unknown Source - Realization의 같이 멋진 예도 요리가 가능합니다.
http://www.cinemusic.co.kr/bbs/zboard.php?id=add
Cakewalk (Sonar)
PC용으로 가장 영향력있는 시퀀서입니다. 뮤지션을 위한 감각적 스타일이라기보다는 컴퓨터 매니아를 위하는 듯한... (저는 시퀀서의 MS Office라고 부릅니다.) 직관적이기보다는 객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춘 넘입니다. 그리고 표준이라 불러도 손색없을만큼 프로그램 자체의 안정성도 높고 CPU 점유도 낮은 편입니다. 손노가다로 하는 미디 시퀀싱에 있어서는 가장 능률이 높습니다. 미디 시퀀싱 자체로만 봐서는 최고의 제품이라 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반면에 오디오 부분에서는 많이 뒤쳐지는 느낌입니다마는, 안정성있게 돌아가는 선택된 소수(?)에게는 오디오에 있어서도 오히려 강점을 가진 부분이 많기 때문에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초창기 도스 버전에서 부터 막강한 성능을 자랑 하던 미디 시퀀서의 대명사 CakeWalk에다가 디지탈 오디오 기능을 부가 하여 새로 만들어낸 버젼이다. 그동안 Sonar 2.0을 사용 해 왔는데 처음 써 봤을때 DXi Effector/Instrument들과 디지탈 믹서 등 화려한 기능들에 훌륭하다고 한다.
Sonar2.0
Cakewalk9.0
http://rct.new21.net/cake/ (가입필요)
http://www.musike.net/cn/cnlsnlist.aspx?crid=ls6
http://blog.naver.com/redrock77.do?Redirect=Log&logNo=120009320058
http://blog.naver.com/djwon321.do?Redirect=Log&logNo=120009942516 (cakewalk9.0 xp에서의 오류)
http://midimania.cpsnet.at/cakewalk.htm
http://blog.naver.com/jaymz96.do?Redirect=Log&logNo=40012796989 (CakeWalk Sonar 3 소개)
http://blog.naver.com/post/postView.jsp?blogId=jaymz96&logNo=40012797075&categoryNo=0&viewdate=&cpage=1&cpage2=1&listtype=0 (Sonar 4 소개글)
http://cafe63.daum.net/_c21_/bbs_list?grpid=6OG&fldid=34Wi
http://tv.mnshome.com/show3.html?num=2
Logic Audio
디자인이 매우 직관적이며 일반적 사용을 위한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해 그 이후에는 매우 쉽고 직관적으로 시퀀싱할 수 있습니다. (그대신 커스터마이즈하는 방법 배우기가 극도로 어렵습니다. ㅡ_-;;;) 매우 특이해서 배우는데 시간이 걸리는 대신 제대로 배우고 나면 최고의 능률을 올릴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자체도 가장 가볍고 작으며, 특유의 EXS24 등의 Logic 전용의 수준높은 신디사이저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기능에서 최고 품질의 오디오를 뽑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공감하지는 않습니다마는) 저음의 어택에 관해 재생능력과 믹싱능력이 타 시퀀서에 비해 탁월하다고 합니다마는 기분탓인건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PC용으로는 이제 업데이트가 끊기는 바람에 호환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http://www.pcmus.com/Logic-Audio-Tutorial.htm
http://logicfaq.omega-art.com/ (Logic Audio FAQ)
http://www.computermusic.co.uk/tutorial/logic/logicaudmain.asp
http://apex.vtc.com/emagic-logic-audio.php
http://tv.mnshome.com/show3.html?num=4
Giga Studio
기가 샘플러로 부터 출발한 GIGA Studio는 가히 가공할 만한 위력의 소프트웨어다. 그동안 미디음원을 재생 시키는것과 오디오 파일 자체를 편집하던 수준을 샘플링이라는 높은 수준의 작업으로 한단계 발전 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미디음원을 이용한 작업 보다는 오디오 샘플을 이용한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GIGA Studio는 오디오 샘플은 물론 존재하는 모든 모듈의 음원을 외부기기의 도움없이 그대로 재생할 수 있는 혁명적인 소프트웨어 이다. 악기의 소리든 자연의 소리든 어디에든 마음에 드는 소리가 있으면 샘플링 하여 내 음악에 쓸 수 있는 것이다. 아쉬운점은 일반적인 사운드카드에서는 제대로된 소리를 들을 수 없다. GSIF driver가 지원되는 오디오보드에서 들으면 Latancy없이 정말로 환상적인 소리들이 쏟아져 나온다.
http://tv.mnshome.com/show3.html?num=5
http://www.mnshome.com/club.html?clubid=giga
http://cafe.naver.com/midi2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
http://blog.naver.com/post/postView.jsp?blogId=simon51&logNo=80010246595&categoryNo=2&viewdate=&cpage2=1&cpage=1
소프트신스
Native Instruments FM7
Native Instruments Absynth 2
Native Instruments Intakt v1.01(Drum-Sampler)
Native Instruments Reaktor
사운드나 음악 제작에 아주 좋은 프로그램이며 샘플러, 악기, 효과음이나 사운드 디자인 툴로서 아주 멋진 사운드를 낼 수 있으며 라이브러리는 많은 악기와 효과음을 가지고 있고 인터넷으로도 업데이트 되고 있다. 소리 합성, 샘플링이나 효과음 처리를 실시간으로 할 수 있고 씬디사이저와 서라운드/스튜디오 효과, 라이브 공연 툴과 샘플러 기능들도 있습니다.
Korg Legacy Collection VSTi
TPS - Brass Section Module (Sampler-Synth )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이브터미널 2496 (오디오카드) (0) | 2005.10.10 |
---|---|
믹싱엔지니어는 요리사 (0) | 2005.10.10 |
midi 키보드 와 사운드 카드 연결 - 두번째 (0) | 2005.10.10 |
[펌] 전자드럼 DD-602 구입하다 (0) | 2005.10.10 |
[펌] PC 키보드와 마스터 키보드의 만남 (0) | 2005.10.10 |
[펌] 디지털 피아노 사용기 (0) | 2005.10.10 |
[펌] 오세준의 음향강좌 - 1. 마이크 이야기 (1) (0) | 2005.10.10 |
05.07.09 W 콘서트 (0) | 2005.07.09 |
배경음악 설명 2 (0) | 2005.04.06 |
몇가지질문... (0) | 200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