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망이 깎는 노인 패러디

방망이 깎는 노인 패러디^^

   벌써 2년전의 일이다.

   내가 대입시험을 치러 서울 여관방에 살 때다.

   수험장 왔다 가는 , 청량리 역으로 가기 위해 독립문서 일단 걸어 가야 했다.

   깜빡하고 필기도구를 안 가져와서 걱정하고 있었는데 때마침, 독립문 맞은 편 길가에 앉아서 연필을 깎아 파는 노인이 있었다.

   연필 한 자루 사가지고 가려고 깎아 달라고 부탁했다. 한 자루는 안 파는것 같았다. 한 자루만 깎아 줄 수 없느냐고 했더니,

   "연필 하나 가지고 땡전 나오겠소? 1다스 사기 싫으면 다른 데 가 사우."

   대단히 빡받게 하는 노인이었다. 빡받아서 가려고 했더니 농담도 못 하냐면서 팬티를 붙잡고 늘어지는 것이었다.

   오히려 미안한 마음이 들어서 잘 깎아나 달라고만 부탁했다. 그는 잠자코 열심히 깎고 있었다.처음에는 빨리 깎는 것 같더니,

    저물도록 이리 돌려 보고 저리 돌려 보고 굼뜨기 시작하더니 이내 마냥 늑장이다. 내가 보기에는 그만하면 다 됐는데 자꾸만 더 깎고 있다.

   인제 다 됐으니 그냥 달라고 해도 못 들은 척이다. 시험 시간이 바쁘니 빨리 달라고 해도 통 못 들은 척 대꾸가 없다. 사실 시험 시간이 빠듯했다.

   갑갑하고 지루하고 뒤가 마려울 지경이다.

   "더 깎지 아니해도 좋으니 그만 달라."

   고 했더니, 화를 버럭 내며

   "돈만 더 주면 이러고 있겠냐!!!"

   나도 똥이 막혀서,

   "학생이 돈이 어딨단 말이오. 노인장 왕고집이시구먼. 뒤가 마렵다니까."

   노인은 퉁명스럽게

   "다른 데 가 사우, 난 안팔겠소."

   하고 가래침을 퇘~ 내뱉는다. 지금까지 기다리고 있다가 그냥 갈 수는 없고, 시험시간은 어차피 틀린 것 같고 해서,

   될대로 되라고 체념할 수밖에 없었다. 사실 작년 대입점수가 80점이라서 애당초 포기한 몸인지라 미련도 남아 있지 않았다.

   "여기 동전은 없고 회수권 있소. 마음대로 깎아 보시오."

   회수권을 한동안 말없이 쳐다보더니

   "글쎄 웃돈이 없으면 점점 거칠고 늦어진다니깐. 물건이란 제대로 만들어야지 깎다가 놓치면 되나."

   좀 누그러진 말씨다. 이번에는 깎던 것을 숫제 무릎에다 놓고 태연스럽게 공룡풍선껌을 씹고 있지 않은가.

   나도 고만 지쳐버려 구경꾼이 되고 말았다. 얼마 후에 또 노인은 깎기 시작한다. 저러다가 연필은 다 없어질 것만 같았다.

   또 얼마후에 연필을 들고 이리저리 던져보더니 다 됐다고 내준다. 사실 다 돼기는 아까부터 다 돼 있던 연필이다.

   변소안에서 응가해야하는 나는 불쾌하기 짝이 없었다. '그 따위로 장사를 해가지고 장사가 개판일 수밖에 없다. 손님본위가 아니고 제 본위다.

   그래 가지고 돈만 되게 밝힌다. 쌍도덕도 모르고 불친절하고 무뚝뚝한 노인이다.

   ' 생각할수록 치질이 도졌다. 응가를 하고 나오면서 뒤를 돌아보니 노인은 기지개를 펴면서 독립문을 바라보고 드러누웠다.

    그 때, 그 누위있는 모습이 어딘지 모르게 고소해 보이고 쭈글한 눈매와 콧수염에 내 마음은 약간 누그러졌다. 노인에 대한 멸시와 증오도 감쇄된 것이다.

   수험장에 와서 연필을 내놓았더니 사람들이 기차게 잘 깎았다고 야단이다. 연필굴리기 참 좋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다른 연필과 별로 다른 것 같지가 않았다.

   그런데, 과학만은 만점을 받는 선배의 설명을 들어보면(다른 과목은 개판임),

   심이 너무 길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의 E=mc제곱에 의거 질량이 폭증하여 같은 무게라도 힘이 들며,

   깎인 자리의 모가 반듯하지 으면 공기저항계수가 0.4이상으로 증가,

    주위에 회오리바람을 일으킴으로서 낙하지점의 오차가 생김으로 인하여 겐또가 안맞는다는 것이다.

   정말 요렇게 꼭 알맞는 것은 좀처럼 만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나는 비로소 마음이 확 풀렸다.

    그리고 그 노인에 대한 내 태도를 뉘우쳤다. 참으로 미안했다.

   옛날부터 내려오는 컨닝페이퍼는 침으로 겉을 닦고 곧 뜨거운 밥풀로 붙히면 선생님 등에 붙혀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요새 컨닝페이퍼는 한 번 떨어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가 없다.

    예전에는 컨닝페이퍼에 밥풀을 붙힐 때, 질 좋은 껌을 잘 씹어서 흠뻑 칠한 뒤에 볕에 쪼여 말린다.

    이렇게 하기를 세 번 한 뒤에 비로소 선생님 등에 붙인다. 이것을 등쳐 먹는다고 한다. 그러나 요새는 접착제를 써서 직접 붙힌다.

    금방 붙는다. 그러나 견고하지가 못하다. 그렇지만 요새 남 시험 잘 치는게 배아파서 며칠씩 걸려 가며 등쳐 먹을 사람이 있을 것 같지 않다.

   던지는 컨닝페이퍼만 해도 그렇다. 옛날에는 던지는 것을 사면 10m짜리는 얼마, 20m짜는 얼마 값으로 구별했고, 백발백중한 것은 세 배이상 비싸다.

   백발백중이란 한 번 마음 먹은 곳을 던지면 정확히 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개중에는 붙는 기능도 있어서 멀리서도 등칠 수가 있었다.

    하지만 눈으로 봐서는 백발백중인지 알 수가 없다. 말을 믿고 사는 것이다. 신용이다. 지금은 그런 말조차 없다.

     어느 누가 남이 보지도 않는데 백발백중하게 만들 리도 없고 또 그것을 믿고 세 배씩 값을 주는 녀석도 시험당일만 되면 들켜서 끌려 가게 된다.

   옛날 우리 선배들은 흥정은 흥정이요 점수는 점수지만, 물건을 만드는 순간만은 오직 최고의 컨닝페이퍼를 만든다는 그것에만 열중했다.

    그리고 스스로 보람을 느꼈다. 그렇게 순수하게 피를 토해내듯 심혈을 기울여 대작을 만들어 냈다.

    이 연필도 그런 심정으로 만들었을 것이다. 나는 그 노인에 대해서 죄를 지은 것 같은 괴로움을 느꼈다.

    '그 따위로 해서 무슨 장사를 해 먹는담' 하던 말은

    '그런 노인이 나같은 청년에게서 멸시와 증오를 받는 세상에서 어떻게 아름다운 연필이 탄생할 수 있담' 하는 말로 바뀌어졌다.

   나는 그 노인을 찾아가서 추탕에 탁주라도 얻어먹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다음해 대입시험때 상경하는 길로 그 노인을 찾았다.

   그러나 그 노인이 앉았던 자리에 노인은 와 있지 아니했다. 나는 그 노인이 앉았던 자리에 멍하니 쓰러졌다.

   시험을 못치게 되어서 허전하고 서운했다.내 마음은 연필을 얻지 못해, 그리고 탁주를 얻어먹을 수 없어서 안타까웠다.

   맞은편 독립문을 바라보았다. 푸른 창공을 가로지르며 독립문 밑으로 육교가 웅장하게 서 있었다.

   아, 그 때 그 노인이 육교 위에 지나가는 여자 치마를 훔쳐 보고 있었구나.

   열심히 연필 깎다가 누워서 육교 계단을 오르내리는 여자를 쳐다보는 노인의 거룩한 모습이 떠올랐다. 내 입에선

   "무슨동 XX하다가 견육교!"

   하는 도연명의 싯귀가 새어 나왔다.

   오늘 안에 들어갔더니 동생이 주관식 컨닝용 무전기와 객관식용 삐삐를 넣고 있었다.

    전에 컨닝페이퍼를 만들다 들켜서 먼지나도록 방망이로 두들겨서 맞던 생각이 난다.

    컨닝 페이퍼 구경한지도 참 오래다. 요새는 얻어맞던 소리도 들을 수가 없다. '

    제발 한 문제만!!'이니 '한 번만 봐 주이소'이니 애수를 자아내던 소리도 사라진지 오래다.

    문득 2년 전 연필 깎던 노인의 모습이 떠 오른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성.  (0) 2010.10.03
재능은 고독속에서 길러지고 성격은 세상의 대하속에서 형성된다.  (0) 2010.10.03
물고기자리 의 사람들  (0) 2010.10.03
필요했던것! ⊙_⊙  (0) 2010.10.03
Life is.....  (0) 2010.10.03
환타지 소설...(블랙 코미디의 완결)  (0) 2010.10.03
추억...??!!!  (0) 2010.10.03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수...  (0) 2010.10.03
너구리코트  (0) 2010.10.03
인생은...  (0) 2010.10.03